(예산군 공주시)절대봉.명우산.극정봉
☞위 치 :충남 예산군 대술면.신양면.공주시 유구읍
☞산행일자 : 2017년9월24일
☞카 메 라 ; 라이카v-lux30
☞날 씨 :
☞산 악 회 ;
☞산 행 지 : 절대봉.명우산368m.극정봉 424m부엉산400m
☞산행시간 : 시간 분
☞산행거리 : .km
☞참가인원 :
☞산행코스 :
☞이동수단 ;
☞숙 박 ;
☞백대명산 ;
☞특이사항 ;
저희 조상님들 묘
전주이씨묘
성지는 아닌듯
이곳이 명우산
소거리 당집
이티리 당거리마을
일산 이수정 소개
1849년 건립한 일산이수정(一山二水亭)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에 홑처마 민도리 구조로
당시 정자 구조를 잘 알아볼 수 있도록 보존되었고 지방에서는 몇 안되는 강독(講讀) 또는 풍류성 정자로
1923년 현재 신양초등학교가 신양공립보통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하던 때 이 정자는 첫 교실로 사용되어
수 많은 후학을 길러낸 역사 깊은 곳이다. 특히 이 정자에 쓰여진 '일산이수정((一山二水亭)' 이란 현판은
추사 김정희 선생이 제주도 귀양에서 풀려난 다음해 이곳에 초대를 받아 4~5일간 머물면서
4일동안에 쓴 글씨로 현판 구도상 일산(一山)을 위아래로 쓰고 이수정(二水亭)을 횡으로 연결시켜
추사의 진경(眞景)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추사 김정희 선생글
포저 조익선생묘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
---|---|
수량/면적 | 97,887㎡ |
지정(등록)일 | 1987.12.30 |
소 재 지 | 충남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 산 3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풍양조씨포저공파종중 |
관리자(관리단체) | 조순묵 |
상 세 문 의 | 충청남도 예산군 문화관광과 041-339-7323 |
조익선생묘에 대한 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인 포저(浦渚) 조익(1579∼1655) 선생의 묘이다.
선조 35년(1602)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지냈으며 광해군 3년(1611)에는
이언적·이황 등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주장하다가 고산도찰방으로 좌천되었고, 이어 웅천 현감이 되었다.
1613년 인목대비가 폐비가 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충청도 신창 도고산 아래 초가를 짓고 학문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로 인하여 예산과 인연이 맺어진 것으로 묘소가 예산 신양면에 있다.
1623년 인조가 즉위하자 맨 먼저 기용되어 이조좌랑이 되었고, 김육과 함께 대동법을 확대·시행하는데 기여하였다.
효종 때에 우의정과 좌의정에 올랐으며, 학문연구에도 정진하여『곤지록』·『중용주해』·『대학주해』·
『서경천설』등을 지어 효종에게 바쳤다.
봉분은 반구형으로 아랫부분에 둘레돌을 둘렀으며, 묘의 앞에는 상석·묘비·망주석 등이 있다.
포저 조익의 묘는 위쪽에 있는데 포저 조익과 그의 아버지인 조영중 두 분이 모셔져 있다.
이 묘는 조선조 유교의 영향을 받아 아들의 묘가 부모의 묘 위로 못 쓴다는 속설을 깨는 산소이기도 하다.
풍양조씨(豊壤趙氏) 포저(浦渚) 조익(趙翼)선생 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