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치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799~2
☞여행일자 : 2016년3월4일
☞카 메 라 ; 케논파워샷 G7X
☞날 씨 :
☞여 행 지 : 추사(秋史)고택과 김정희(金正喜)
☞여행시간 : 시간 분
☞여행거리 : .km
☞참가인원 :
☞여행코스 :
☞이동수단 ;
☞숙 박 ;
☞백대명산 ;
☞특이사항 ;
추사 김정희 선생은 1786년 6월 3일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서 영조의 부마이신 월성위 김한신의 증손이며
이조판서 김노경(金魯敬)의 아들로 태어나 백부 김노영에게 입양되었다.
선생은 조선왕조 후기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서예가로 벼슬은 병조참판과 성균관 대사성에 이르렀으며
당시의 당쟁에 휩쓸려 제주도와 함경도 북청에서 10여년간 유배생활을 지내다 말년에
생부 김노경(金魯敬)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과천에서 71세의 일기로 1856년 10월 10일(철종7년)
에 작고하였다.(중략)
저서로는 완당집(阮堂集), 예당금석과안록(禮堂金石過眼綠),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완당척독(阮堂尺牘), 담연재시고(覃硏齋詩藁)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넓고 깊은 학문과 천부의 재질을 바탕으로 한 추사의 예술은 시(詩), 서(書), 화(畵),
전각(篆刻)등에도 뛰어나으며 서도(書道)는 추사체라는 독자일문(獨者一門)을 열어 서예사상 지고의
경지를 이룩하였다. 작품으로는 묵란도(墨蘭圖), 묵죽도(墨竹圖)와 국보로 지정된 세한도(歲寒圖) 등이 있다.
세한도(歲寒圖: 국보 제180호)
세한도는 1844년 완당 나이 58세때, 제주도에서 귀양살이 하는 동안에 제자인 우선(藕船) 이상적(李尙迪)이
정성을 다해 청나라 연경에서 구해온 책을 보내 주는 등 변함없이 사제의 의리를 지켜 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세한송에 비유하여 그려준 그림으로, 완당 생애 최고의 명작이다. (개인 소장)
추사(秋史)고택의 문간채, 사랑채, 안채
안채는 6칸의 대청과 2칸의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안방 및 건넌방의 부엌과 안대문, 협문(夾門),
광 등을 갖춘 ‘ㅁ’형의 집이다. 안방과 건넌방 밖에는 각각 튓마루가 있고, 부엌 천정은 다락으로 되어 있으며,
안방과 건넌방 사이 있는 대청은 6칸으로 그리 흔하지 않는 규모이다.
이러한 ‘ㅁ’ 자형 가옥은 중부지방과 영남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이른바 대갓집 형이다.
해시계(石年)
댓돌 앞에 세워진 이 돌기둥은 해시계 받침 용도로 쓰였으며, 석년(石年)이라는 글씨는 추사선생의 아들인
상우(商佑)가 추사체로 쓴 것을 각자(刻字)한 것이다.
추사 50대 중기작으로 보이는 新安舊家(신안구가)[주자학을 깊이 이어온 집]
'신안(新安)'은 주자가 머물렀던 지명으로 전해지며 그래서 '주자학(朱子學, 성리학)'을 이름이다.
竹爐之室(죽로지실)
[차를 끓이는 죽로(겉을 뜨겁지 않게 대나무로 감싸서 만든 화로)가 있는 방]이란 뜻으로 ,
추사가 친구인 황상(黃裳)에게 써준 다실(茶室) 이름이다. 예서(隸書), 전서의 형을 살리어
그림을 피하는 듯하여 지나치게 교(巧)를 부린 작품이다.
추사의 글씨를 평하여 일반적으로 졸(拙)한 것이 그의 특징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있으나,
실은 추사의 글씨는 교(巧)하지 않은 것이 그의 없다.
다만, 그의 교(巧)는 이 작품에서 보는 것과 같은 정교(精巧)에 속한 것이 아니요,
불균형적(不均衡的)인 표현으로 나타내는 교(巧)를 의미하는 것인데, 이런 점으로 보아
이 작품은 예외가 될 것이다. (호암미술관 소장)
백송(白松)
충남 예산군 추사고택 부근의 위치하며 이 백송은 추사선생이
중국에서 가지고와 심은 백송이고 합니다
1937년 초배인 한산이씨묘에 추사묘와 게배인 예안이씨 묘를 이장하여 3위를 합장하였다.
묘에는 석상과 망주석 1쌍이 있고 묘비는 그해 9월에 세웠는데 종인 김승렬이 짓고 썻다.
041-334-9235
충남 예산군 대흥면 노동리 184-6
냉면과 어죽이 유명한 예당저수지의 명소 산마루 가든
고향에 왔으니 유명한 어죽을 먹고 가야지..
이곳은 후배가 운영하는 식당이다
'여행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미래사.박경리 문학관 (0) | 2016.04.13 |
---|---|
(예천군)용문사.초간정.석송령 (0) | 2016.03.11 |
(인천시)도호부 청사.대보름맞이 민속문화축제 (0) | 2016.02.24 |
(예산군) 예당호 의형제마을 (0) | 2016.02.16 |
(연천군.철원군)연천 역고드름 .철새탐조 (0) | 2016.02.04 |